검색결과

Search Results for: advanced – Page 2
Faculty

김광수

[내재된 범용 양자 포텐셜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으로, 실용적 고효율 신소재 창조/개발] 혁신적인 소재/소자 및 이들의 초기능성을 개발한다. 여기에는 자기합성(Science 2001)에 의한 나노렌즈의 슈퍼해상도(Nature 2009a), CVD-합성된 그래핀(Nature 2009b)을 이용한 슈퍼자기저항(Nat. Nano. 2008), 초고속 DNA 시퀀싱(Nat. Nano. 2011), 2D 분자전자분광법(ACS Nano 2014), 초상자성을 이용한 수질정화(ACS Nano 2010)가 포함된다. 신소재 설계를 위해 기계학습에 기초한 희소-가우스-프로세스-회귀를 이용하여 범용 제1원리 에너지/힘이 내장된 라이브러리를 개발한다(Phys. Rev. B; J. Phys. Chem. Lett. 2021). 능동 학습을 통한 유사도 측정으로 국소 기하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함수차수를 줄여 확장성을 준다. 즉, 상변이에 관련된 여러 국소환경들을 병합하여 복합계로의 전이/확장이 가능하고 정확한 범용 에너지/힘-빅데이타를 구축한다. 기계학습된 제1원리 분자역학 시뮬레이션은 디지털트윈 역을 담당하며, 고성능 단원자 전기촉매(Nat. Energy 2018), 중합촉매(Nat. Catal. 2018), 배터리(Adv. Energy Mater. 2022),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Nature 2021)등을 개발한다.

Faculty

이근식

물질 및 계면에서 전자 전도를 이해하는 것은 에너지 변환, 전자공학 및 스핀트로닉스와 같은 장치 응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관련 물리적 및 화학적 현상은 다소 고전적인 이론에 의존하는 우리의 직관으로는 거의 예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실험 못지않게 현대 양자이론과 시뮬레이션은 통찰력을 얻고 혁신적인 재료를 설계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의 연구 관심분야 중 하나는 최첨단 시뮬레이션 도구를 사용하여 재료의 다양한 특성을 예측하는 것입니다. 효율적인 예측을 위해 기계 학습 지원 스크리닝을 사용하여 밀도범함수이론 패키지로 high-throughput 계산을 수행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복합계의 상관효과 현상을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기존 코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동적평균장 이론과 비평형 그린함수 방법을 사용하는 차세대 소프트웨어 도구도 개발합니다.

Faculty

오현철

오현철 교수 연구실에서는 다공성 물질에서의 극저온 물리흡착현상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캐리어 저장(수소, 메탄 등), 온실가스 포집(CO2), 양자 효과가 적용된 동위원소(H2/D2/T2, O16/O18, He3/He4 등) 분리, 극저온 수소 자연 기화(boil-off) 저감 기술 등의 연구를 수행 합니다. 특히 효율적인 수소저장기술은 향후 탄소중립달성을 위한 수소경제의 핵심 기술이 될 수 있으나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난제도 많이 남아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주요 연구 방향입니다. 또한,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동위원소 분리 기술은 기존 고가의 극저온증류법을 대체할만한 신기술로 각광받고는 있으며, 관련 분야를 세계적으로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중수소의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고, 원전 해체 및 방사성 오염수의 삼중수소 처리 문제, 핵융합 원료(D2&T2)의 효율적 분리 기술에 대한 요구가 산업 분야별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동위원소 분리 신기술은 향후 많은 관심을 받을 것입니다.